TRUST STORY

TOPIC

기업의 지속가능성 K-ESG 가이드로 확인해볼까?

ESG 규율 강화, 기업 평가와 투자기준, 공급망 실사 등 기업의 ESG 경영이 중요해진 상황이다. 하지만 ESG 경영에 관심이 많은 기업도 구체적으로 어떻게 ESG 경영을 준비하고 평가에 대응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정부가 ESG 경영을 위해 필요한 핵심요소를 정리하여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이유다.

글 | 편집실

기업의 ESG 경영과 평가대응 방향 제시

기업의 ESG 경영 추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목표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실천은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경험과 정보가 부족하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은 비용, 시간 등 어려움으로 ESG 경영 도입에 더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국내·외 600여개 이상의 평가지표가 운영되고 있으나 개별 기업에서 각각의 평가기준, 평가방식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더욱이 글로벌 ESG 평가기관들은 기관마다 고유한 평가 프로세스, 지표, 측정산식 등을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 일관된 평가 대응체계를 수립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12월,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가이드라인은 ESG 경영을 위해 필요한 핵심 요소를 제공하여 기업의 자율적 ESG 경영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국내외 주요 13개 ESG 평가기관과 공시기준(DJSI, MSCI, EcoVadis, Sustainalytics, WEF, GRI 등)에서 제시하는 3,000개 이상의 ESG 지표와 측정항목을 분석하고, 61개 ESG 이행과 평가의 핵심·공통사항을 마련했다. 주요 평가기관들이 사용하는 공시방법, 사용단위 등 항목별 평가기준 기반의 항목해설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국내 ESG 활성화 지원을 위한 첫 출발점

특히 각 분야별 전문가, 전문기관, 관계부처 의견 등을 반영하여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우리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했다. 글로벌 기준 중심의 ‘기본 진단항목’과 국내 제도에서 중요시 하는 ESG 경영 요소를 ‘추가 진단항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기업과 평가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진단항목별 추가설명, 용어정리, 참고자료 등 최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진단 항목 정의서는 진단 항목의 목적·내용·방법 등을 함축적으로 제시하는 ‘항목설명’, 항목을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원천, 데이터 기간, 데이터 범위, 데이터 산식을 제시하며 해당 자료를 통해 성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성과점검’, 성과점검에서 확인한 자료를 기반으로 해당 기업의 ESG 경영 수준을 진단할 수 있도록 단계별 기준을 제시하는 ‘점검기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ESG 현황과 수준을 진단해 볼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기업뿐 아니라 국내 ESG 평가기관에서도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기존 평가기관 뿐 아니라 신생 평가기관에서도 널리 활용되어 평가시장의 투명하고 성숙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K-ESG 가이드라인은 우리 기업에게 ESG 경영의 주요 핵심요소를 제공함으로써 기업 자율적 ESG 경영확산을 지원하는 취지에서 개발된 것으로, ESG 경영 방향과 주요 평가요소를 우선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부는 글로벌 동향을 반영한 K-ESG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1~2년 주기로 발간하고, 업종별·기업 규모별 가이드라인도 2022년부터 마련할 계획이다.